전체 > 경제·금융
라면값 1년새 8.7% 폭등... 정부 통제해도 멈추지 않는 식품물가 '꼬리물기'

가정에서 직접 요리하는 것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주부 나현희씨는 "장바구니 하나 채웠을 뿐인데 10만원이 넘게 나온다"며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특히 식품업체들이 12·3 불법계엄 사태 이후 국정 공백기를 틈타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지적된다.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8~11월 1%대에서 12월 2.0%, 올해 1월 2.7%, 2월 2.9%, 3월 3.6%로 계속 상승해 4~6월에는 4%대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약 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62개의 가격이 1년 전보다 올랐으며, 특히 라면은 6.9% 상승했다. 양념소스(21.3%), 시리얼(11.6%), 탄산음료(8.0%), 냉동식품(6.7%), 빵(6.4%), 비스킷(6.0%), 아이스크림(5.1%) 등 거의 모든 품목이 인상됐다.
한국의 식품물가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수준이다. OECD의 구매력 평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OECD 38개 회원국 평균(100)보다 47.0% 높아 스위스(163) 다음으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는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며 비상경제점검 TF를 구성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8월 '여름 휴가철 가공식품 할인행사'를 진행 중이며, 식품업체 16곳과 유통업체 5곳이 참여해 봉지라면·컵라면, 식빵, 커피류, 탄산음료 등을 최대 50% 할인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물가 통제가 장기적으로 효과를 낼지는 의문이다. 윤석열 정부 당시에도 라면 가격을 인하했지만, 그 효과는 오래가지 않았다. '농심 신라면'의 경우, 2023년 7월 4285원에서 2024년 7월 4198원으로 2.0% 하락했다가 올해 7월에는 4564원으로 1년 전보다 8.7% 상승했다.
고물가는 특히 저소득층에게 더 큰 타격을 준다.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에 속하는 1분위 가구의 명목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으며, 실질소득은 4.1% 감소했다. 가처분소득도 6.1% 줄어 매달 32만원 이상의 적자가 쌓이고 있다. 이로 인해 저소득층은 필수적인 먹거리 소비마저 줄이는 실정이다.
이재명 정부는 민생을 살리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통해 총 13조2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정책이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경기 회복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지, 고물가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inewsbrief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