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제니·로제·이효리까지... 셀럽들이 몰래 다시 쓰기 시작한 '그것'

IT업계에 따르면 유선 이어폰이 음향 시장의 중심에서 밀려난 시점은 2016년 애플이 무선 이어폰 '에어팟'을 출시한 이후부터다. 이후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이 무선 이어폰 시장에 속속 진입했고, 빠른 기술 발전에 힘입어 무선 기기는 편리성과 휴대성을 무기로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특히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3.5mm 이어폰 단자를 없애면서 유선 이어폰은 점차 설 자리를 잃는 듯했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블랙핑크 제니는 바르셀로나 공연 후 자신의 SNS에 유선 이어폰을 착용한 사진을 게재해 화제를 모았으며, 공항 출국길에서도 유선 이어폰을 착용한 모습이 포착되며 관심을 끌었다. 같은 그룹의 로제 역시 "줄이 달린 클래식한 이어폰을 선호한다"며 직접 가방 속 유선 이어폰을 꺼내 보이기도 했다. 배우 한소희, 문가영, 가수 이효리 등도 공개석상에서 유선 이어폰을 착용한 모습이 자주 목격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하이엔드 브랜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샤넬은 지난해 시계, 목걸이, 이어폰을 결합한 '샤넬 프리미에르 사운드 워치'를 선보였다. 약 2030만원에 이르는 고가 제품임에도 기술과 패션을 융합한 상징적 아이템으로 주목받았으며, 유선 이어폰을 감각적인 럭셔리 아이템으로 끌어올린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유선 이어폰의 부활을 단순한 기술의 회귀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새로운 세대의 정체성과 취향이 반영된 소비문화의 변화로 해석하고 있다. 한 소비문화 전문가는 "Z세대와 알파세대는 과거의 상징적 오브제를 '뉴레트로' 감성으로 재해석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길게 늘어진 이어폰 줄은 이제 단순한 기능이 아닌 스타일의 일부다. 액세서리처럼 보이는 실루엣 덕분에 목걸이나 헤어 포인트처럼 시각적 임팩트를 준다"고 설명했다.
또한 "무선 이어폰이 기술 진보의 상징이었다면, 유선 이어폰은 '선택적 불편함'과 '낭만적 아날로그'의 아이콘으로 재해석되고 있다"며 "이제 소비는 단순한 편리함보다 '정체성 표현'에 더 큰 가치를 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는 "충전이 필요 없고 연결 오류가 적다는 점에서 유선 이어폰은 오히려 '완성된 기술'"이라며 "첨단 기술이 일상이 된 시대일수록, 오히려 아날로그 기술의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는 역설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선 이어폰은 단순한 음향기기를 넘어 실용성과 개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트렌디한 아이템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젊은 세대의 손끝에서 이어폰 줄은 또 하나의 '힙함의 언어'로 자리 잡고 있다"고 전했다.
inewsbrief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1등 "이렇게" 하면 꼭 당첨된다!...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