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경제·금융
연금 수급의 씁쓸한 진실..절반 이상은 월 50만원 이하

65세 이상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69만5000원으로 전년보다 6.9% 늘었다. 다만 증가율은 2022년(8.3%)보다는 다소 둔화됐다. 성별과 연령, 소득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 평균 90만1000원을 받아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80만7000원으로 비교적 높았고, 경제활동에 등록된 취업자는 평균 77만9000원, 주택 소유자는 87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수급액의 중위수는 46만3000원으로 전년 41만9000원보다 올라갔다. 구간별로 보면 25만~50만원대가 50.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50만~100만원(31.3%), 100만~200만원(8.2%), 200만원 이상(5.9%) 순이었다. 반면 25만원 미만 구간은 4.0%에 그쳐 전년 19.9%에서 크게 줄었다. 이는 기초연금 인상 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최재혁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기초연금이 물가 상승률을 일부 반영하면서 25만원 미만에 머물던 수급자들이 대거 25만~50만원 구간으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연금 종류별로는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000명(74.8%), 국민연금 수급자가 476만명(55.1%)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국민연금 수급자 중에서는 10~20년 가입 후 수령하는 경우가 절반 이상(50.3%)이었다. 개인연금 수급자는 43만5000명으로 5.0% 늘었으며, 퇴직연금 수급자는 3만명으로 비중은 0.4%에 불과했지만 증가율이 86.8%에 달해 눈에 띄었다. 연금별 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 29만2000원, 국민연금 45만2000원, 퇴직연금 115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18~59세의 연금 가입 현황을 보면, 전체 가입자는 2374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가입률은 81.0%로 0.8%포인트 떨어졌다. 이 연령대에서 연금을 가입하지 않은 미가입자는 555만6000명으로 19.0%를 차지했지만, 전년보다 5.3% 줄었다.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34만4000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으며, 이는 2021년 이후 3년 연속 상승세다. 특히 10만~25만원 구간의 가입자가 32.9%로 가장 많았고, 25만~50만원(31.7%), 10만원 미만(20.0%), 50만~100만원(10.8%)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료가 50만~100만원 구간에 해당하는 비중은 전년 29.6%에서 10.8%로 확대됐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가입자는 각각 2156만7000명(90.8%), 758만1000명(31.9%)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 가입자는 전년보다 0.3% 줄었지만 퇴직연금 가입자는 2.4% 증가했다. 개인연금 가입자는 488만명으로 7.2% 감소해 대비되는 양상을 보였다.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3만1000원, 개인연금은 33만7000원 수준이었다.
특이하게도 60~64세 수급자의 평균 수급액은 100만4000원으로, 65세 이상 수급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60~64세 연금 수급자는 177만3000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42.7%였으며,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이 2023년부터 63세로 상향 조정되면서 연령별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60~62세 수급률은 24.8%였지만 63~64세에서는 69.9%로 크게 올랐다. 다만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수급률은 증가하지만 금액은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가구 단위로 보면, 65세 이상 연금 수급가구는 651만4000가구로 전년보다 5.2% 증가했다. 이들의 월평균 수급액은 89만8000원으로 7.3% 늘었으며, 특히 2인가구(106만원), 1세대 부부가구(123만9000원), 주택소유 가구(103만6000원), 세종지역(108만7000원)에서 높았다. 반면 18~59세 연금 가입가구는 1531만3000가구로 0.3% 증가했고, 가입률은 92.1%였다. 이들의 월평균 보험료는 52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2.3% 늘었다.
이번 통계는 기초연금, 국민연금, 주택연금 등 11종의 연금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매년 11월 1일 기준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며, 개인과 가구 단위의 연금 가입 및 수급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결과는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노후 소득 보장 정책과 국민연금 개혁 논의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전망이다.
inewsbrief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 당뇨환자 '이것' 먹자마자..바로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집에서 5분만 "이것"해라! 피부개선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