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여행여가
발리·베네치아 가려면 이제 '입장세'부터 각오해야

세계관광기구(UNWTO)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 국제 관광객 수는 3억 명을 돌파하며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역시 올해 역대 최대인 49억 9000만 명이 항공기를 이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폭발적인 수요의 배경에는 아시아와 중동 신흥국 중산층의 부상, 그리고 인스타그램,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특정 장소의 급격한 유행이 자리 잡고 있다. 문제는 이 거대한 수요가 소수의 유명 관광지에 집중된다는 점이다. 컨설팅 기업 매킨지는 "전체 여행객의 80%가 전 세계 관광지의 단 10%에만 몰린다"고 지적했다.
결국, 몸살을 앓던 유명 관광지들은 ‘4R(Re-cap, Re-price, Re-rule, Re-space)’로 요약되는 강력한 규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단체 관광객 규모를 25인으로 제한하고, 한때 5유로의 ‘도시 입장세’를 시범 운영했다. 대형 크루즈선의 진입과 확성기 사용도 금지했다. 인도네시아 발리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15만 루피아의 관광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신성한 사원에서 무례한 행동을 할 경우 강력히 처벌하고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은 관광숙박세를 유럽 최고 수준인 12.5%로 인상했고, 항공권에 29.40유로의 여객세를 부과하며 여행 비용 자체를 높이는 전략을 택했다. 일본 교토 역시 숙박 요금에 따라 세금을 차등 부과하는 누진제를 도입할 예정이며, 후지산은 하루 등반 인원을 4,000명으로 제한하고 4,000엔의 입산료를 받고 있다.
여행객의 주머니를 위협하는 것은 세금뿐만이 아니다. 저렴한 숙소의 대명사였던 ‘에어비앤비’와 같은 단기 임대 숙소들이 철퇴를 맞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2028년까지 1만여 개의 관광 아파트 허가를 모두 폐지하기로 했고, 뉴욕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단기 임대 등록제를 시행해 불법 숙소의 80% 이상을 시장에서 퇴출시켰다. 이는 곧 관광객들이 더 비싼 호텔로 내몰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공료 역시 더 이상 저렴하지 않다. 유럽연합(EU)의 지속가능항공연료(SAF) 혼합 의무화, 탄소배출권 유료 전환 등으로 항공사의 운영 비용이 급증했다. 네덜란드와 프랑스 등은 항공 환경세를 대폭 인상했고, 공항들도 시설 사용료를 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조적으로 저비용항공사(LCC)의 ‘초저가 시대’는 막을 내렸다고 진단한다.
한편, 한국은 외국인 관광객 2,000만 명 유치를 눈앞에 두고 있지만 속사정은 복잡하다. 관광객 1인당 지출액은 2019년 대비 24.4%나 급감하며 ‘속 빈 강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 세계적인 여행 비용 급등의 시대에, 한국 관광 산업의 질적 성장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inewsbrief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