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성인 10명 중 8명은 책 읽는다"…알고 보니 1년 평균 독서량은 고작 '5.4권'

대한출판문화협회 산하 한국출판독서정책연구소는 최근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독서문화 통계' 조사를 진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종이책을 한 권이라도 읽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80.4%에 달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매우 고무적인 수치다.
그러나 독서의 범주를 넓히자 이야기는 더욱 흥미로워진다. 이번 조사는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독서'의 개념을 대폭 확장했다. 종이로 된 책뿐만 아니라 전자책, 오디오북은 물론, 이제는 대세 콘텐츠로 자리 잡은 웹툰과 웹소설, 그리고 웹진과 학술지 논문까지 모두 '읽는 행위'로 포괄한 것이다.
이렇게 확장된 기준으로 살펴보니, 지난 1년간 어떤 형태로든 '독서 경험'이 있는 성인은 전체의 87.8%까지 치솟았다. 종이책 독서율(80.4%)을 필두로, 웹툰(41.4%), 전자책(37.5%), 잡지·웹진(34.9%), 웹소설(27.3%)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국민 대다수가 여전히 텍스트 기반 콘텐츠를 활발히 소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양'의 측면으로 들어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1인당 연간 평균 독서량을 살펴보면, 종이책은 5.4권에 그쳤다. 한 달에 채 0.5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반면, 새로운 강자로 떠오른 웹툰은 연간 42.8화, 웹소설은 35.7화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책은 1.4권, 오디오북은 0.8권으로 아직은 종이책의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한 권을 진득하게 읽어내는 전통적 독서 방식에서,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소비하는 '스낵 컬처' 형태의 콘텐츠로 독서의 무게 중심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람들은 왜 '읽는' 것일까? 독서의 주된 목적을 묻는 질문에는 '식견을 넓히고 교양을 쌓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26.5%로 가장 높았다. 여전히 독서를 지식 습득의 중요한 통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재미있어서'(17.9%)가 그 뒤를 바짝 쫓았고, '전문 지식 습득'(16.5%), '마음의 위안'(15.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미'가 중요한 동기로 부상한 것은 웹툰과 웹소설의 폭발적인 성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조사는 한국 사회의 독서 문화가 '죽어가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전통적인 종이책의 위상은 예전 같지 않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이야기를 읽고 지식을 탐하며 위안을 얻는다. 종이책의 시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시대로, 독서의 패러다임은 이미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inewsbrief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