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성인 10명 중 8명은 책 읽는다"…알고 보니 1년 평균 독서량은 고작 '5.4권'

대한출판문화협회 산하 한국출판독서정책연구소는 최근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독서문화 통계' 조사를 진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종이책을 한 권이라도 읽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80.4%에 달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매우 고무적인 수치다.
그러나 독서의 범주를 넓히자 이야기는 더욱 흥미로워진다. 이번 조사는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독서'의 개념을 대폭 확장했다. 종이로 된 책뿐만 아니라 전자책, 오디오북은 물론, 이제는 대세 콘텐츠로 자리 잡은 웹툰과 웹소설, 그리고 웹진과 학술지 논문까지 모두 '읽는 행위'로 포괄한 것이다.
이렇게 확장된 기준으로 살펴보니, 지난 1년간 어떤 형태로든 '독서 경험'이 있는 성인은 전체의 87.8%까지 치솟았다. 종이책 독서율(80.4%)을 필두로, 웹툰(41.4%), 전자책(37.5%), 잡지·웹진(34.9%), 웹소설(27.3%)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국민 대다수가 여전히 텍스트 기반 콘텐츠를 활발히 소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양'의 측면으로 들어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1인당 연간 평균 독서량을 살펴보면, 종이책은 5.4권에 그쳤다. 한 달에 채 0.5권도 읽지 않는 셈이다. 반면, 새로운 강자로 떠오른 웹툰은 연간 42.8화, 웹소설은 35.7화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책은 1.4권, 오디오북은 0.8권으로 아직은 종이책의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한 권을 진득하게 읽어내는 전통적 독서 방식에서,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소비하는 '스낵 컬처' 형태의 콘텐츠로 독서의 무게 중심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람들은 왜 '읽는' 것일까? 독서의 주된 목적을 묻는 질문에는 '식견을 넓히고 교양을 쌓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26.5%로 가장 높았다. 여전히 독서를 지식 습득의 중요한 통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재미있어서'(17.9%)가 그 뒤를 바짝 쫓았고, '전문 지식 습득'(16.5%), '마음의 위안'(15.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미'가 중요한 동기로 부상한 것은 웹툰과 웹소설의 폭발적인 성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조사는 한국 사회의 독서 문화가 '죽어가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전통적인 종이책의 위상은 예전 같지 않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이야기를 읽고 지식을 탐하며 위안을 얻는다. 종이책의 시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시대로, 독서의 패러다임은 이미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inewsbrief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